교과목 목록
번호 | 교과목 | 번호 | 교과목 | 번호 | 교과목 |
---|---|---|---|---|---|
1 | 국방정책론 | 18 | 국방품질경영 | 34 | 신뢰성 공학 |
2 | 정책결정론 | 19 | 국산화전략 | 35 | 국방기술기획 |
3 | 국가안보론 | 20 | 원가관리 | 36 | 전력운영공학 |
4 | 군비통제론 | 21 | 계약론 | 37 | M&S 공학 |
5 | 국방전략기획론 | 22 | 기술가치평가론 | 38 | S/W 공학 |
6 | 국제법 | 23 | 협상론 | 39 | 감항인증 |
7 | 군사법규론 | 24 | 연구개발관리 | 40 | War Game |
8 | 남북한 관계론 | 25 | 계량분석론 | 41 | 전투실험방법론 |
9 | 지적재산권연구 | 26 | 국방정보화기획 | 42 | 유도무기시스템 |
10 | 사회과학연구방법론 | 27 | 방위산업진흥론 | 43 | 통신전자시스템 |
11 | 국방정책세미나 1 | 28 | 절충교역론 | 44 | 특수무기체계 |
12 | 방위사업론 | 29 | 방위사업세미나 1 | 45 | 조사연구방법론 |
13 | 프로젝트관리 | 30 | 무기과학론 | 46 | 안전공학 |
14 | 국방자원관리 | 31 | 무기체계공학 | 47 | 전력소요기획론 |
15 | 분석평가/비용분석 | 32 | 시스템엔지니어링 기초 | 48 | 시험평가인증 |
16 | 군수품조달론 | 32 | 시스템엔지니어링 기초 | 49 | 생산시스템분석 |
17 | 군수지원 | 33 | 의사결정론 | 50 | 무기체계세미나 1 |
교과목 해설
-
- 1. 국방정책론(Introduction to National Defense)
- 적과의 전쟁을 억제 및 방지하고 만약 전쟁이 일어났을 경우 국가의 총력을 기울여 전쟁에 이길 수 있도록 도모하기 위한 정책의 수립, 이행과 관련한 내용을 포괄적으로 학습하며, 국방조직의 기능과 편성, 변천, 제한점 등을 포괄하여 학습한다.
-
- 2. 정책결정론(Theory of Policy Decision-making)
- 정책학의 의미, 발생배경 및 전개과정, 정책학의 발전, 정책수립에 주요 고려요소, 정책수립절차 등에 대해 이론적 고찰과 정책수립 후 집행단계에서의 예상되는 문제점 등 사례연구를 통해 정책학을 학습하며, 정책의제 설정에서부터 정책결정, 정책집행, 정책평가 등의 전반적인 정책 과정에서의 정책의 결정을 위한 이론적인 지식 함양 의제들에 대해 학습한다.
-
- 3. 국가안보론(Theory of National Security)
- 국가안보의 일반적 개념과 정치·경제·군사력 등이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 안보협력과 군비통제, 안보환경에 따른 안보정책결정과정, 한국안보정책의 발전방향과 전망을 학습하여 국가안보정책 입안능력을 배양한다.
-
- 4. 군비통제론(Arms Control)
- 군비통제의 개념과 기능, 필요성, 이행 방법과 단계를 이해하고, 전쟁 방지를 위한 군비경쟁의 안정화 등 국가간 군비통제의 사례를 통해 한반도 안보상황에서 가능한 남·북한간의 군비통제 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
- 5. 국방전략기획론(Defense Strategic Planning)
- 국가전략 및 군사전략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군사전략 수립 과정/절차 및 국방기획관리체계의 개념과 절차에 대해 이해하며, 방위사업과의 관계 등에 대해 학습한다.
-
- 6. 국제법(Study for International Law)
- 국제법의 일반이론 기초 위에 독도영토분쟁, 선제공격의 당위성 등과 같은 국제법에 있어서의 특수문제를 선정 연구한다.
-
- 7. 군사법규론(Military Law and Regulatios)
- 국방 및 방위사업 분야가 관계된 법령체계의 이해와 적용에 대해 학습한다.
-
- 8. 남북한관계론(Study for South-North Korean Relationship)
- 한국사회를 둘러싼 국제관계 문제에 있어 핵심적인 사안이라고 할 수 있는 남북한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지 역사적인 시각에서 고찰하고, 최근의 남북한 관계에서의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다각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
- 9. 지적재산권연구(Study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
지적재산은 기술의 변화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급변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기술이 나오는 경우에 따라 법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지적재산권법의 이론을 기초로 하되 다양한 특허, 상표, 저작권, 부정경쟁행위, 영업비밀 등 관련 판례 및 사례를 공부한다.
-
- 10. 사회과학연구방법론(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ology)
- 사회과학분야의 제반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방법을 터득하고, 연구의 모델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자료수집, 정리, 분석방법과 연구 및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계량적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 11. 국방정책세미나 1(Seminar for National Defense Policy 1)
- 현 국방정책의 평가, 국방환경평가 및 전망, 주요 국방정책방향, 정보화, 군사혁신, 평화유지활동 등 주요 국방정책 현안 중 관심 있는 의제에 대해 관련 전문가를 초빙하여 강의 및 토의를 통해 전문지식을 함양한다.
-
- 12. 방위사업론(Introduction to Defense Acquisition Project)
- 방위사업관련 지식체계에 해당하는 국방정책분야에 국가안전보장, 국방정책, 민군관계, 의사결정 등과 방위사업 분야의 방위력개선사업, 군수품 조달, 국방과학기술 진흥, 방위산업육성 등 전반적인 국방전력발전업무 관련 내용을 학습한다.
-
- 13. 프로젝트관리(Defense Project Management)
- 소요기획 단계에서 획득, 운영유지, 폐기에 이르는 총 수명주기체계 동안 군수품관리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개괄하고, 일반사업의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정립과 프로젝트 범위, 일정, 원가, 품질, 인적자원, 의사소통관리, 위험, 계약 및 통합 등 9개 관리영역에 대해 포괄적으로 다루며, WBS, PERT, CPM, EVA, RAM 등 관련된 도구들을 포함하여 학습한 후에 방위사업에서 특징적으로 요구되는 프로세스관리 및 프로젝트관리 영역에 대해 학습한다.
-
- 14. 국방자원관리(Defense Resource Management)
- 제한된 국방예산 환경 하에 부여된 자원을 활용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생성할 수 있는 병력구조, 자원배분방법, 총수명주기관리 운영개념 적용 등 거시적・미시적 차원에 효과적인 국방자원관리 관련 이론, 방법 등에 대하여 학습하고, 국방정보화를 위한 기반체계(정보통신망, 주파수, 정보보호/사이버전, 전산장비/PC 등), 응용체계 (C4I체계, MCRC, 과학화훈련장, 워게임 등 전장관리정보체계, 인사/군수정보체계 등 자원관리정보체계, 워게임 과학화훈연장 등 M&S체계), 체계연동 및 상호운용성 관리(네트워크중심전 복합체계 등 )에 대한 국방정보자원관리를 위한 사업관리절차 등을 함께 학습한다.
-
- 15. 분석평가/비용분석(Analysis Evaluation・Cost Analysis)
- 방위력개선사업에 의사결정의 합리성을 도모하고 재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분석평가・성과관리의 기본원칙, 소요기획단계, 획득단계, 예산단계, 집행단계, 운영유지단계 등 사업단계별 분석평가・성과관리 절차 및 평가요소, 분석평가・성과관리 수행 방법, 평가결과 처리 등에 대해 학습하고, 무기체계의 효과도 분석에 기본이 되는 소요비용분석에 기본개념과 역사, 소요제기 이전단계에서의 정성적 비용대효과분석 방법, 원가자료를 통한 정량적 비용분석방법, 전산모델을 활용한 정량적 비용분석방법, 정성적인 효과도 측정법 등 다양한 여건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용대효과분석이론 및 사례 등에 대해 학습한다.
-
- 16. 군수품조달론(Military Munitions Procurement)
- 군수품 조달 개요, 원칙, 소요 및 사업관리, 조달관리, 부품국산화 개발, 군수품표준화, 군수품 운영유지 등 군수품 조달관련 전반적인 내용 및 관련 이론들을 학습한다.
-
- 17. 군수지원(Logistic Support・Management)
- 무기체계가 획득되어 야전에 배치됨과 동시에 전력화가 되도록 하기 위한 전력화지원에 핵심인 전투발전요소와 종합군수지원요소에 대한 요소별 업무수행 주체와 종합군수지원 원칙, 적시에 전력화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획득 방법별 구체적인 지원요소 확보계획 수립 및 시행방안과 새로운 군수지원체계 및 방법을 적용한 전력화지원 방법 등에 대해 학습하며, 미래 지향적 차원에서 기존 군수지원・관리체계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발전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새로운 군수지원・관리체계에 대한 핵심 이론 및 내용과 적용상 예상되는 현 체계와의 상충성 등에 대해 학습하고 한국군 실정에 부합하는 적용방안 등에 대해 학습한다.
-
- 18. 국방품질경영(National Quality Administration)
- 표준화와 품질인증제도, 통계적 품질관리기법, 군수 조달과 품질보증상의 문제점과 대책 등을 포함하여 시스템의 전 수명주기에서 품질의 중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관리체계 구축 및 활동 전개에 필요한 방법론들을 배울 수 있다.
-
- 19. 국산화전략(Localization)
- 군수품 획득 원칙, 연구개발 기본원칙, 부품국산화 기본방침 ․ 개발절차 ․ 개발정보관리 ․ 개발품구매, 과학기술진흥 및 방위산업육성 차원에 국산화전략 등 국가적 차원에 국산화전략 이론 및 사례연구 등을 학습한다.
-
- 20. 원가관리(Cost Management)
- 군수조달 및 계약과정에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국내조달의 예정가격 산정과 국외조달의 목표가 산정 및 결정절차, 원가관리일반, 가격조사 ․ 소액품목 가격결정 방법, 제비율 ․ 감손율 산정 등 원가산정 및 관리 주요내용과 적용이론 등에 대해 학습한다.
-
- 21. 계약론(Contract Management)
- 군수품 획득과정에서 필수적인 사업별 계약절차 및 내용에 대해 개관하고, 계약업무절차, 계약문서 구성 등 계약관리일반과 지출관리원칙, 국내조달과 국외조달에 적용하는 계약체결 및 계약(이행)관리 등에 대한 절차와 적용, 주요 계약 사례 등에 대해 학습한다.
-
- 22. 기술가치평가론(Theory of Technology Value Evaluation)
- 새로운 첨단 기술을 적용한 기술기획 및 전략, 기술개발 관리, 기술사업화 등의 기술혁신경영 분야 최근의 주요 연구내용 등을 통해 이론을 습득하고 사례 중심으로 경영능력을 함양하며, 합리적이며 논리적인 국방과학기술에 대한 보유기술수준측정, 분석, 활용 방안과 기술 거래 및 상업화에 필요한 기술의 정성적・정량적 가치평가에 관한 이론, 기법, 사례에 관해 학습한다. 특히 기술 가치 평가를 바탕으로 한 절충교역의 실무에 관해 사례연구 등을 포함해 심층적으로 접근한다.
-
- 23. 협상론(Negotiation Theory)
- 협상에 기본이론과 국익 보호차원에서 협상과정에 주요고려요소, 국제통상협상과정에 기준이 되는 법적근거, 국제입찰과정에 주요고려요소, FTA협정국과 협상과정에 주요고려요소 등 협상전략·전술 수립 및 시행과정의 관련 내용들에 대해 학습한다.
-
- 24. 연구개발관리(Research Development Management)
- 군수품 획득의 한축을 이루는 연구개발사업의 구분, 연구개발 사업수행의 기본원칙, 연구개발 단계별 주요업무, 주요무기체계별 적용 연구개발절차, 핵심기술 연구개발절차, 연구개발사업관리와 연구개발전략, 연구개발조직, 연구개발자원관리, 최신의 연구개발 관리실무에 대해 학습하고, 사례 연구 등을 통해 체계적인 실무능력을 함양한다.
-
- 25. 계량분석론(Measuring Analysis)
- 방위사업관리의 여러 문제들을 계량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할 수 있는 경영과학기법들과 통계적 모형들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실무적으로 자주 접하는 사례들을 다룬다. 또한 엑셀, 미니탭 등 계량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다룬다.
-
- 26. 국방정보화기획(Informationalizing Planning)
- 국방정보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공학의 개념, 이론 및 기법에 대한 학습과 국방정보화사업의 기획, 계획, 집행, 관리 등과 정보자원관리, 평가, 상호운용성, 정보보호, 정보기술아키텍처 등 정보기반기술의 적용, 정보화 신기술 협력사업 기획 등 국방정보화분야 업무수행능력을 함양한다.
-
- 27. 방위산업진흥론(Theory of Defense Industry Promotion)
- 국가과학기술체계의 범위 내에서 안보상황과 미래 전쟁양상을 고려한 국방과학기술진흥 정책 및 국방과학기술 발전전략, 연구개발 전략, 국방과학기술정보관리, 방산수출 전략 등 방위산업진흥에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내용들을 중심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거시적・미시적 방위산업 육성을 위한 내용들을 학습한다.
-
- 28. 절충교역론(Off-set Program)
- 방위사업에서 수반되는 절충교역에 대한 개념, 역사, 적용, 이행, 관리에 대해 학습한다.
-
- 29. 방위사업세미나 1(Defense Acquisition Program Seminar 1)
- 방위사업 분야의 주요 이슈, 관심 사항, 특수/전문 분야에 대한 전문가 초빙 강의 및 세미나를 통해 관련 전문지식과 현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
- 30. 무기과학론(Basics Weapon Sciences)
- 현대 무기체계는 현대에서 동원할 수 있는 과학과 기술의 집약체이다. 따라서 이들 무기체계는 모두 일정한 과학적 원리와 공학적인 개념의 바탕에서 만들어지고 운용된다. 본 과목은 현대 무기체계를 이해하는 데에 필수적인 최소한의 과학적 지식을 제공하고 모든 무기체계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물리적 원리와 개념의 기본(Basics Physical Principles and Concepts), 힘, 속도, 가속도, 압력, 운동량, 일과 에너지, 등 여러 가지 물리적인 양들(physical Quautities), 광학(Optics)과 전자기학(Electromagnetics), 물질의 구조와 성질, 재료와 구조의 특성의 기초를 학습한다.
-
- 31. 무기체계공학(Weapon Systems Engineering)
- 각종 무기체계의 개념, 구성 및 운용의 과학기술적 원리를 기본적 수준에서 습득하며, 무기체계의 기술적 특성 및 발전추세 등에 대해 학습하고, 군수품으로 구분되는 무기체계·비무기체계 구분기준, 대분류 무기체계별 주요 구성품 및 특성, 각 군의 주요 무기체계 특성 및 발전추세, 한국의 방산능력 등 방위사업전문가로서 알아야할 기본 수준의 무기체계 공학관련 내용을 학습한다.
-
- 32. 시스템엔지니어링의 기초(System Engineering)
- 시스템엔지니어링 프로세스 개념, 시스템엔지니어링을 적용한 문제해결과정, 시스템엔지니어링과정에 요구되는 업무분해구조, 주요측정요소관리, 위험관리, 형상관리 등 주요활동, 시스템엔지니어링 적용 및 시행조직 구성, 관리방안 등 전반적인 시스템엔지니어링 이론 및 적용사례 등에 대해 학습한다.
-
- 33. 의사결정론(Decision Theory)
- 다양한 분야에서 과학적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다기준 의사결정기법, 의사결정나무, 시뮬레이션을 통한 통계적 의사결정 등의 방법론과 소프트웨어의 활용을 다룬다.
-
- 34. 신뢰성 공학(Reliability Engineering)
- 고장률과 평균수명 등의 신뢰성 척도, 시스템의 신뢰도 추정 및 예측 방법, 목표 신뢰도의 하향식 할당을 포함한 신뢰성 설계기법, 신뢰성 시험평가 그리고 FMEA나 FTA등의 신뢰성 도구에 관한 이론과 응용을 다룬다.
-
- 35. 국방기술기획(Defense Technology Planning)
- 기술기획 및 전략, 기술개발 관리, 기술사업화 등의 기술혁신경영 분야 연구 내용을 최신 paper, article 등을 이용하여 사례 중심으로 그 이론을 습득하고, 국방과학기술 진흥과 방위산업육성 차원에 군사전략 구현을 위한 중장기 무기체계 개발 소요와 혁신적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소요별 Top-down 기술기획을 통한 Demand-pull 전략과 Bottom-up 기술기획을 통한 Technology-push 전략 중 추진적합성, 수요와 공급능력의 부합성, 기술개발 촉진성 등을 기준으로 연구개발전략 수립을 위한 일반 개념을 학습한다.
-
- 36. 전력운영공학(Force Operations Engineering)
- 무기체계의 개념 형성으로부터 NCW, C4ISR, EBO 등 각종/각급 전장운영개념에 대한 이해와 개념의 발전에 대해 학습하고, 전력을 구성하는 각종 무기체계 및 전력체계의 조합에 관한 원리와 방안 및 발전추세 그리고 전투발전요소에 대해 학습한다.
-
- 37. 국방 M&S 공학(Defense Modeling & Simulation Engineering)
- 무기체계 소요제기, 획득/개발 및 운용의 전 단계에서 적용되는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의 개념과 내용에 대해 학습하고, 획득분야, SBA(Simulation Based Acquisition), 연습훈련분야, 작전계획 분석, 합동 및 전투실험, Battle Lab 등 구체적인 적용 대상 분야에 대한 개념, 이론, 기술, 발전추세 등에 대해 학습한다.
-
- 38. SW 공학(Defense SW Engineering)
- 국방 소프트웨어 전 수명주기 단계에 걸쳐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를 생산하고 유지보수 활동을 체계적, 경제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공학으로 소프트웨어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과 도구 관리기법과 군사용 SW의 개발, 운용, 관리, 실태 및 추세 등에 대해 학습한다.
-
- 39. 감항인증(Airworthiness Certification)
- 미국 및 유럽의 안전 인증제도와 국내 인증제도에 대한 소개, 군용무기체계를 위한 시험평가 및 감항인증체계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인증 절차와 제도의 발전 방안을 소개하고, 미공군 감항성 검증 및 인증제도 및 절차, 미국 연방항공국(FAA) 검증 및 인증제도의 이해(감항인증, 형식인증, 생산인증 등), 그리고 국내 무기체계연구개발 절차, 인증 위한 시험평가 절차, 국내 인증 관련 제도의 현황 및 이해, 정부/업체 연구개발시험 시 적용 할 검증/인증 과정과 절차, 방산수출용 무기체계에 대한 검증 및 인증에 대해 소개하며, 개발 항공기의 안전성을 보장 및 인증하는 체계에 대해 학습한다.
-
- 40. War Game
- 모델링 시뮬레이션 기법을 군사분야에 적용하여 실제 전장상황이나 가상의 전장상황을 조성하여 절차를 숙달하거나 결과를 분석, 예측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War Game 개념, 원리, 구성, 수행방법, 종류, 개발 방안, 개발 요소, DATA 소요 등과 합참, 각군의 워게임 실태와 발전방향, 타국 사례 등을 학습한다.
-
- 41. 전투실험방법론(Methodology for Combat Experiment)
- 전투발전요소(개념, 교리, 작계, 군구조, 무기·장비 등)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 및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분석, 모델링 시뮬레이션, 시범 등 각종 방법과 절차에 대해 학습한다.
-
- 42. 유도무기시스템(Guided Weapon Systems)
- 유도무기 개발의 중요성과 개발과정을 이해하고, 비행성능, 조종 안정성 및 공력특성 해석, 선두부, 날개 및 핀 형상, 추진장치, 유도제어장치, 탐색기, 발사대 등 시스템에 대한 이해, 그리고 공대공, 공대지, 지대공, 지대지, 순항미사일 등의 운용개념을 이해하며, 개발 예를 통하여 유도무기 체계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 43. 통신전자시스템(Communications and Electronics Weapon Systems)
- 통신장비, C4I체계, 데이터링크, 전자전, 레이더, 각종 정밀탐지장비 등 통신 및 정밀 전자 분야의 최첨단 무기체계의 구성과 운용개념을 이해하고 기술적/공학적 특성 및 발전추세 등에 대해 학습한다.
-
- 44. 특수무기체계(Special Weapon Systems)
- 핵무기, 방사능전, 화학전, 생물학전, 우주무기체계 등 주로 비대칭전력에 속하는 무기체계에 대한 운용개념 및 기술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미래전에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신개념 무기체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발전추세에 대해 학습한다.
-
- 45. 조사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 델파이기법, FGI와 같은 정성적 조사연구방법과 표본조사설계, 자료수집방법,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등을 포함한 정량적 조사연구방법을 다룬다. 또한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글쓰기 내용을 다룬다.
-
- 46. 안전공학(Safety Engineering)
- 산업 활동에서 야기될 수 있는 각종 재해의 원인, 과정의 분석, 규명과 이의 방지에 필요한 과학 및 기술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특히 무기체계의 개발 및 운용과 관련된 안전 요소 및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
- 47. 전력소요기획론(Theory of Military Requirement Planning)
- 안보환경 및 군사전략에 따라 필요한 무기체계를 획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요 무기체계의 필요성, 시기, 요구 성능, 수량 등을 도출하는 방법, 도출된 소요에 대한 분석 및 검증 방법 등과 소요발생에서 요청·제기·결정과정 등에 대한 이론 및 절차 등을 학습한다.
-
- 48. 시험평가인증(Basic Theory of Test and Evaluation・Certification)
- 군수품 획득과정에 반드시 요구되는 시험평가 개요, 필요성, 종류 및 절차, 주요 업무수행내용, 결과 판정원칙과 주요 무기체계 및 관련 구성품/부품 수출을 위한 인증의 개요, 필요성, 국내·외 인증기관 및 인증절차, 인증 주요내용 등 주요내용을 학습한다.
-
- 49. 생산시스템분석(Production System Analysis)
- 기업의 생산시스템을 이해하고 설계 및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체계적 방법론을 다룬다. 생산 및 일정계획, 생산시스템의 개념과 구조, CADS/CAM, FMS, 재고관리, 공정설계, 공정분석 및 개선 등의 내용을 다룬다.
-
- 50. 무기체계세미나 1(Seminar for Weapon System 1)
- 주요 또는 관심 대상인 무기체계·비무기체계의 구성 및 특성, 발전추세, 국산화 추진전략, 관심현안 등을 의제화하여 관련 전문가를 초빙하여 강의 및 토의를 통해 전문지식을 학습한다.